예를 들어, array = [1,2,3,3,3,4]의 최빈값은 가장 많은 빈도의 3이어야 하고, array = [1,1,2,2]의 최빈값은 1, 2의 빈도수가 같으므로 출력값은 -1로 나와야 합니다. 1. 각 원소의 개수를 센다. ex) a의 개수 = 3, 최빈값 = a 2. 연속한 배열값이 같다면 수를 증가하고, 다르면 개수를 비교한다. 3. 앞서 셌던 숫자의 개수보다 지금의 개수가 많다면, 최빈값이 바뀐다. ex) b의 개수 = 4, 최빈값 = b 4. 개수가 같다면 최빈값은 -1이다. function solution(array) { const length = array.length; //array 길이 let mode; // 최빈값 let Subcount = 0; // 최빈값의 수 let count..
문장을 끊을 때는 동사 앞에서 끊어주는게 해석하기 더 편하다. Securing은 확보하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. ' 가지고 있는 것을 지키다 => 확보하다 ' 이런 느낌으로 파생된 듯 하다. 명사절에서의 What은 ~하는 것 quote는 열에 아홉은 '견적'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. likewise: 마찬가지로 otherwise: 반면에 기억하자. by: ~까지 emerge :나타나다, 알려지다 merge: 병합 as: ~로써 그곳에 주변에 다른 자동차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~ 이번 주 수업에서 가장 애먹었던 5형식 해석 더보기 5형식: 주어(S) + 동사(V) + 목적어(O) + 목적보어(O.C) = '주어'가 '목적어'를 '목적보어'하게 '동사'하다. 5형식 동사는 불완전타동사 목적보어로 주로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